3대 지수 상승
- - 다우 : +0.75% (40,527.62)
- - S&P500 : +0.58% (5,560.83)
- - 나스닥 : +0.55% (17,461.32)
* 반면,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△0.92% 하락
당일 주요 일정 요약
- 4월 ADP취업자 변동
- 1분기 GDP 예비치
- 3월 개인소득, 개인소비지출
- 3월 잠정주택판매지수
- 마이크로소프트(MS) 실적 발표
- 메타 실적발표
- 캐터필러 실적발표
상승 배경 요약
1. 무역협상 기대감
- 미중 협상 진전은 없었지만, 아시아 중심의 17개국과 협상 낙관론 부각
- 트럼프 행정부 100일 맞아 주요 장관들의 긍정적 발언
- . 중국 제외한 17개국 협상 진행 중
- . 한국 일본 포함 주요 아시아 국가와 구체적 논의 중
2. 자동차 부품 관세 완화 발표
- 미국 내 완성차 제조사에 2년간 관세 크레딧 제공
- 크레딧으로 부품 수입 시 관세 상쇄 가능
- 철강 / 알루미늄 중복 관세 면제 효과도
경제지표 부진
- 소비자신뢰지수 : 86.0 (전월 대비 93.9% 하락)
* 코로나19 초기 이후 최저 수준
- 기대지수 54.4 (12.5pt 하락, 13년래 최저)
- 3월 상품무역수지 적자 : 1,620억 달러 (역대 최대치)
- 3월 구인건수(JOLTs) : 719.2만 건 (전망치 748만 건 대비 하회)
금리 및 통화시장 동향
- 6월 FOMC 금리 전망 (CME FedWatch)
- . 동결 확률 : 35.1%
- . 25bp 인하 확률 : 60.2%
- 달러화 : 무역 기대감 속 강세
- 국채시장 : 경기 둔화 우려로 장기물 강세 (금리 상승)
- 국제유가(WTI) : $60.42 (△2.63%), 미중 무역 긴장 및 수요 둔화 우려로 하락
- 금 가격 : 관망세 속 소폭 하락
업종 및 종목별 동향
상승 업종
- 자동차, 산업서비스, 제약, 의료장비, 음식료, 화학
대표 종목 상승률
- 화이자 : +3.21% (1Q 호실적)
- 테슬라 : +2.15%, 포드 : +1.30%, 스텔란티스 : +2.46% (관세 완화 수혜)
- 대형 기술주 혼조세
. 애플 +0.51%, 메타 +0.85%, 마이크로소프트 +0.74%, 엔비디아 +0.27%
. 알파벳A △0.28%
하락 종목
- 아마존 : △0.17%, 관세 표기 검토 후 트럼프 항의 이슈
- GM : △0.64%,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연간 가이던스 재검토 및 자사주매입 보류
시장 전략가 코멘트
"무역문제 해결 전까지 다른 변수는 덜 중요. S&P500은 5,100~5,700 박스권 예상."
- 로스 메이필드 (베어드 투자 전략가)
'1. 시사경제 브리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제 출산하면 주택 혜택 및 대출 상환 유예?! (0) | 2025.04.30 |
---|